안녕하세요, lifeonmat입니다.
오늘 소개할 요가 동작은 수리야 나마스카라 시퀀스 안에서 슬쩍 지나가지만 절대 쉽게 지나갈 수 없는 동작이죠! 바로 차투랑가 단다아사나 (Chaturanga Dandasana)입니다. 이 자세는 팔과 코어의 힘을 바탕으로 ‘내 안의 중심’을 찾아가는 묵직하고도 정직한 동작이에요.
1. 이름 속에 담긴 의미
‘차투랑가 단다아사나’는 산스크리트어로 다음과 같이 풀 수 있어요.
- Chatur = 네
- Anga = 팔다리
- Danda = 막대기(봉)
- Asana = 자세
즉, "네 개의 지지점을 가진 막대기 같은 자세" = 팔과 발끝으로 몸을 띄운 채 일자로 고정된 자세를 의미하죠. 조금 더 현대적인 감각으로 표현하 "요가의 플랭크+푸쉬업 중간자세"라고 보면 딱이에요!
2. 자세 설명 – 차투랑가 어떻게 하나요?
- 플랭크 자세에서 시작해 손바닥은 가슴 옆에
- 팔꿈치를 몸에 딱 붙이고, 숨을 내쉬며 몸 전체를 낮춰요
- 상체, 엉덩이, 다리까지 일직선 유지
- 팔꿈치는 90도, 가슴은 바닥에 닿지 않게 유지
- 몸이 ‘붕’ 뜨거나 ‘푹’ 꺼지지 않도록 코어에 힘 집중!
3. 전설 속 이야기 – “대지의 중심을 가로지르는 막대기”
인도 신화에는 세계를 떠받치는 막대기(Danda)가 등장해요. 그 막대기는 흔들리지 않는 중심축이자 대지와 하늘을 잇는 연결선이죠. 차투랑가도 마찬가지예요. 팔과 다리, 몸통을 하나로 묶는 ‘내 안의 막대기’를 만들어 흔들림 없이 자신을 지탱해야 하니까요. 이 자세를 하다 보면 "나는 얼마나 중심에 집중하고 있는가?", "내 안의 기둥은 얼마나 곧고 정직한가?"를 자연스럽게 묻게 됩니다.
요가에서 말하는 ‘단다(Danda)’는 무엇일까?
‘단다’는 단순한 막대기가 아니에요. 산스크리트어에서 ‘Danda’는 막대기, 지지봉이면서 규율, 중심축, 권위, 자제력을 상징해요. 고대 인도 철학에서는 세계의 중심에는 거대한 산 메루(Mount Meru)가 있고, 이 메루를 수직으로 관통하며 지지하는 축이 바로 ‘단다’ 개념이에요. 우주의 몸이 메루라면, 단다는 그 우주의 척추 같은 존재죠.
요가 수행에서도 ‘단다’는 흔들리지 않는 나만의 중심축을 세우는 행위를 의미해요. 차투랑가 자세는 바로 그 심신의 정렬된 막대기를 몸으로 표현하는 수련이라고 볼 수 있어요.
흥미롭게도, 힌두 신화에서 죽음과 법의 신 야마(Yama)는 손에 단다를 들고 나타나요. 그건 곧 자기 통제력, 질서, 중심을 잡는 힘을 상징하죠. 그러니까, 차투랑가는 단순한 팔힘의 자세가 아니라, “내 안에 있는 세계를 떠받치는 단다”를 깨우는 의식이에요.
4. 실전 팁 – 차투랑가 생존 가이드
- 팔꿈치는 반드시 몸에 붙이기!
팔이 벌어지면 어깨 부상의 위험이 커져요. - 몸이 일직선인지 거울로 체크해보기
자칫하면 엉덩이가 들리거나, 허리가 꺼질 수 있어요. - 초보자는 무릎을 바닥에 대도 좋아요!
무릎만 바닥에 대고 코어를 유지하는 연습부터 시작해도 OK. - 팔꿈치 각도는 정확히 90도
더 낮추면 어깨에 무리가 가고, 더 높으면 운동 효과 반감!
5. 차투랑가가 좋은 이유
- 팔, 어깨, 손목, 가슴, 코어 등 전신 근력 강화
- 바른 정렬 → 어깨 안정화
- 수리야 나마스카라, 빈야사 등 플로우 요가의 연결동작에서 핵심 역할
- 자세 하나로 자신감과 집중력 향상
6. 철학적으로 본 차투랑가
요가의 정수는 ‘흐름(flow)’ 안의 ‘멈춤(stillness)’이에요. 차투랑가는 그 멈춤의 정점 같은 동작이에요. 몸을 낮추는 동작 속에서도 흐름은 살아 있고, 중심은 흔들리지 않도록 버티는 그 내적 집중이 요가의 깊이를 만들어주죠.
7. 마무리하며
차투랑가 단다아사나는 한 순간에 휙 지나가버릴 수도 있지만 그 안에 담긴 정렬, 중심, 집중, 진심은 결코 가볍지 않아요. 오늘 수련에서 이 자세 하나만은 딱 한 호흡이라도 진심으로 머물러보는 건 어떨까요? 내 몸이 아닌 내 중심이 이 자세를 기억하게 될 거예요.
Namaste 🙏
📚 참고 자료
- Kino MacGregor, The Power of Ashtanga Yoga
- David Swenson, Ashtanga Yoga Practice Manual
- David Frawley, Hinduism and the Quest for the Self, Voice of India
- Gavin Flood, An Introduction to Hinduism, Cambridge University Press
- Yoga Journal, “What Does Danda Mean in Yoga Philosophy?”
- 개인 요가 수련 경험 및 요가 철학 강의 노트
'요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가]하늘을 향한 손끝 – 우르드바 하스타사나 (1) | 2025.04.14 |
---|---|
[요가]산처럼 흔들림 없이 – 타다사나 또는 사마스티티 (1) | 2025.04.14 |
[요가]왜 개(狗)의 이름이 붙었을까-다운독 & 업독 (3) | 2025.04.13 |
[요가]내 안의 전사와 마주하다 – 전사 자세 시리즈 I, II, III (4) | 2025.04.11 |
[요가]앉지 않았는데 앉은 것처럼 – 우카타사나, 의자 자세 (1) | 2025.04.11 |